경기도교육청은 학교로 가는 공문서 감축과 질적 개선을 위해 ‘현장 중심 공문생산 책임 강화 종합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임태희 교육감은 지난 3월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을 신설하고 학교 업무 제도를 개선해 학교가 교육활동에 전념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외부 기관에서 학교로 가는 공문의 지속적 증가와 내부 기관 공문 발송으로 인한 행정업무를 감소하기 위해 공문서 감축과 외부공문 유통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우선 교(직)원단체에서 학교로 발송하는 외부공문은 도교육청 담당 부서(협력지원과, 노사협력과)로 수신처를 일원화한다.
담당 부서가 사안에 따라 공문 게시 및 담당 부서(학교)로 지정·이송하고 중장기적으로 학교 지원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 홍보성 외부공문은 단순 홍보 및 안내, 행사 홍보 등 공문 게시기준을 신설하고, 경기도 교육정보기록원의 인력 충원으로 외부 공문 게시를 확대해 학교 행정업무를 경감하기로 했다
아울러 교육(지원)청과 직속기관에서 학교로 보내는 내부 공문을 감축하고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로 했다.
내부 공문에 ▲공문게시제 확대 ▲공문생산 이행사항 강화 ▲공문(핵심용어·학교실행) 표시제 신설 ▲부서장과 기관 평가에 반영한다.
공문게시제는 K-에듀파인(업무관리) 공문 게시판을 재구조화해 공지, 연수 영역을 신설하고 공모/대회/체험/진로를 통합해 별도 공문 접수절차 없이 학교가 열람하도록 한다.
특히 공문 내용을 제출, 협조, 설문 등 핵심용어로 간소화해 표기하고 위원회심의, 자체 계획 수립, 자료집계 등 학교가 할 일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공문학교실행표시제’를 새롭게 운영한다.
경기도교육청 이운재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은 “이번 종합 대책은 교육감 특별지시사항으로 여러 부서가 함께 논의해 마련했다”며 “종합 대책에 포함된 여러 과제를 추진해 학교가 체감할 수 있는 업무경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교육청 소속 전교직원은 업무포털 팝업존에 신설된 ‘공문서불편신고센터’를 통해 공문서 감축 및 질적 개선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