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 |
경기도 콘텐츠산업의 매출 규모가 2016년 기준 20조를 넘었고, 세부 분류별로는 출판산업이 가장 높은 매출액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3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경기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경기도와 경기도콘텐츠진흥원은 지난 2008년부터 도내 콘텐츠산업 실태 파악과 효율적 정책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매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해 왔으며, 올해 8월에는 이 조사가 통계청이 인증하는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돼 통계의 신뢰도를 높이게 됐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두 달간 경기도 전체 콘텐츠기업 2만287개 중 출판, 음악,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영화, 방송, 광고,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11개 분야 2천351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원이 직접 기업을 찾아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도는 이번 조사에서 11개 분야의 제작업체 현황은 물론 지역서점, 만화카페, 노래연습장 등 콘텐츠 유통업까지 경기도 콘텐츠산업 전반 현황을 담았다.
세부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2016년 기준 경기도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20조9천852억원으로 집계됐다. 출판이 5조9천977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게임 4조619억원, 만화ㆍ애니메이션ㆍ캐릭터 3조9천72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산업은 8천112억 원으로 1조를 넘지 못했다.
가장 높은 매출액을 기록한 출판산업은 경기 북부권역 4조4천404억원, 고양시 5천267억원으로 경기도 전체 매출액의 82.8%를 차지했다.
게임산업은 성남시가 3조5천405억원으로, 도 전체 게임 매출 4조619억원의 87.2%를 차지했다.
만화ㆍ애니ㆍ캐릭터산업은 수원시 2천608억900만원, 고양시 2천522억7천200만원, 부천시 2천3억3천100만원, 성남시 1천987억3천300만원 순이었다.
경기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는 총 7만5천122명이었으며, 출판산업이 4만2천231명으로 가장 많고, 게임산업 1만9천538명, 지식정보ㆍ콘텐츠솔루션 산업(예를 들면 네이버, 다우기술, SK플래닛, 아프리카TV 등) 1만6천808명, 음악산업 1만3천353명 순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콘텐츠기업의 총 수출액은 2조6천92억9천200만원이었고, 지식정보ㆍ콘텐츠솔루션산업이 1조3천586억5천400만원, 게임산업이 1조1천384억2천400만원의 수출을 기록해 가장 비중이 높았다. 만화ㆍ애니ㆍ캐릭터산업의 수출액은 557억9천200만원, 음악 436억1천100만원, 출판 102억9천700만원, 영화ㆍ방송ㆍ광고 25억1천500만원 이었다.
경기도 콘텐츠기업 가운데 매출액 규모가 100억 이상인 콘텐츠기업은 189개사로 총 사업체 수의 0.93%에 불과하지만 이들의 매출액이 14조8천850억원으로 전체의 70.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전체 수출액에서도 2조5천117억원으로 96.2%를 차지했다.
경기도는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가 국가승인통계로 전환되면서 올해는 통계적 오류를 줄이기 위해 경기도 9개 도시와 권역별 현황만 발표했으며, 내년부터 조사 기업수를 확대하고, 조사를 고도화함으로써 통계 발표지역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부천시 콘텐츠산업 현황
한편, 이번 ‘2017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에서 부천시의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는 1천540개 업체로, 음악산업이 704개 업체로 가장 많았고, 게임 220개 업체, 출판 219개 업체, 만화ㆍ애니ㆍ캐릭터 173개 업체, 영화ㆍ방송ㆍ광고 124개 업체, 지식정보ㆍ콘텐츠솔루션 100개 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부천시 콘텐츠산업의 총 매출액은 5천44억6천800만원으로, 만화ㆍ애니ㆍ캐릭터산업이 2천3억3천100만원으로 전체의 39.7%를 차지했고, 출판 1천231억6천만원(24.4%), 영화ㆍ방송ㆍ광고 844억5천400만원(16.7%), 음악 433억9천800만원(8.6%), 게임 360억4천300만원(7.1%), 지식정보ㆍ콘텐츠솔루션 170억8천200만원(3.4%) 순이었다.
부천시 콘텐츠산업의 총 수출액은 317억6천300만원이었다.
종사자 수는 출판산업이 2천851명으로 가장 많았고, 만화ㆍ애니ㆍ캐릭터 1천310명, 음악 1천31명, 게임 871명, 영화ㆍ방송ㆍ광고 706명, 지식정보ㆍ콘텐츠솔루션 468명 순으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