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3차 종합계획은 ▲정밀 공간정보 데이터 확보로 도정업무 지원 ▲드론 운영 통합 플랫폼 구축으로 행정혁신 구현 ▲드론 운영역량 강화 및 미래인력 양성 ▲드론을 활용한 분야별 업무 추진 등 4개 추진전략으로 구성됐다.
3차 종합계획에는 도내 택지개발사업지구, 도시재생사업지구 등 경기도의 핵심 사업지구에 대한 단계별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3차원 정책지도를 구축한다.
새로운 건축물이나 교통 영향평가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도 제작해 행정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도민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주요 시설물 안전관리, 환경오염 감시 및 해양쓰레기 단속 등 생활·안전 분야에 드론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재난재해 현장에도 드론을 투입해 피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확보하고 피해복구 시간 및 예산 절감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와 시군의 드론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해 드론 운영자를 양성하고, 각 부서의 업무특성에 맞는 드론 운영자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 AD |
앞서 경기도는 5년간 3천34건의 드론 행정지원을 통해 약 120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바 있다.
드론을 활용한 불법행위 단속, 지적재조사 사업, 건축자산 공간정보 기록, 해빙기·우기 건설현장 안전점검, 재난·재해 현장 안전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도정업무를 지원했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행정업무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드론을 활용한 효율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속적인 드론 기술 활용을 통해 드론 운영 체계를 더욱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