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부천시
부천시 인사
원미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소사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오정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10개 광역동➜ 37개동(洞) 행정복지센터
부천도시공사(前시설관리공단)
경기도
중앙부처
현안 과제
지하철
추모공원
공유재산
행정조직
해외교류&방문
재산신고
우체국
주민자치회/마을자치회
동(洞)지역보장협의체

탑배너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 상담 접수 1만명 돌파
개설 후 1년 6개월 만에 ‘복지상담 이웃’으로 자리매김
복지상담 4천286명·복지외의 타사업 등 문의 5천714건
복지상담 4천86명 중 제보 626명으로 15% 차지 
더부천 기사입력 2024-02-19 09:32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1159


‘긴급복지 핫라인’ 상담 접수 1만명 돌파
그래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복지 사각지대에서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 이후 위기도민 발굴을 위해 2022년 8월 25일부터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을 운영한 결과 1년 6개월 만에 상담 접수 1만 명을 넘어섰다.

도는 ‘긴급복지 핫라인’과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031-120)를 신설했고, 경기복G톡, 경기도 긴급복지 누리집으로 ‘긴급복지 핫라인’을 확대 운영하고 있다.

‘긴급복지 핫라인’에서 상담받은 1만 명 중 4천286명이 복지상담을 받았으며, 복지 이외의 건강보험료 미납 및 도내 정책 등 문의는 5천714건에 이르렀다.

도는 올해 1월 주거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고시원 2천937곳, 쪽방촌 36세대, 무료급식소 16곳에 긴급복지 핫라인 홍보물을 배부했으며, 도민 밀집 지역에 현수막을 게시해 복지도움을 필요로 하는 도민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어려운 이웃을 제보하는 상담도 늘고 있으며, 개설 초기에 주로 가족이나 친인척의 제보 비율이 높았으나 점차 지인, 이웃 등 지역사회 제보가 증가하며 2022년 말에는 지역사회 제보가 46%였으나 올해 1월 말에는 58%로 증가했다.

지난달 19일 길에서 넘어져 안면부 출혈이 있는 할머니가 도와달라는 소리에 동네 이웃이 병원 이송과 동시에 긴급복지 핫라인에 전화해 복지 도움을 요청한 사례도 있었다. 이는 도민들이 긴급한 상황에서 주저하지 않고 긴급복지 핫라인에 연락해 도움을 요청할 만큼 긴급복지 핫라인의 인지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현재 할머니는 요양병원에 입원 치료 중이다.

경기도는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발견하면 핫라인(010-4419-7722) 또는 긴급복지 콜센터(031-120), 경기복G톡(카카오톡), 긴급복지 누리집 등 4개 채널 어디로든 적극 제보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한편, 복지상담을 받은 4천286명은 50대가 1천48명(24.5%)으로 가장 많았으며 복지상담을 통해 요청받은 도움을 분야별(중복 응답)로 살펴보면 ▲‘생계지원’이 4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의료 15% ▲주거 6.3% ▲채무 8% 등의 순이다.

| AD |
가구 유형별로는 1인가구가 42%로 가장 많았고, 2인가구 22%, 3인 가구 13%가 뒤를 이었다.

복지도움을 요청한 4천286명 중 긴급복지·국민기초생활수급·차상위 등 공적 지원은 1천883명에 14억9천만 원을 지원했고, 현금·상품권·후원물품 등 민간 지원은 975명에게 9천760만 원을 지원했다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긴급복지 핫라인은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도민들도 손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복지 상담창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사후관리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여 ‘수원 세모녀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활성화 유공자 14명 표창… 도내 지역사회 제보율 증가
경기도, 위기 노인가구 2천명 선별 위기상황 파악 복지서비스 제공
경기도, 빅데이터 활용 위기 노인가구 2천700명 선별 실제 조사 추진
경기도와 경기소방재난본부, 3월부터 ‘회복 지원 알리미’ 서비스 시작
복지사각지대 도민 찾아주는 경기도 ‘희망보듬이’ 올해 3만명 모집
댓글쓰기 로그인

행정
· 21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 7명 ..
· 부천시, 원도심 ‘미니뉴타운•역..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KB국민은행, 청년·1인가구 지원사업 ..
· 조용익 부천시장, ‘어버이날’ 관내 ..
· 부천시, 고향사랑기부제 두 번째 고액..
· 부천시립 별빛마루도서관, ‘길 위의..
· 경기도교육청, 경기형 창의ㆍ융합체험..